애플워치 당뇨병 85%이상 정확도로 진단 가능


당뇨병 환자 천국인 미국 건강관리에 큰 영향 미칠 듯



웨어러블 기기에 탑재된 심박센서를

통한 데이터 분석 전문 업체인 Cardiogram에

따르면 애플 워치에 탑재된 심박 측정 센서만으로도

85% 가량의 정확도로 당뇨병 여부를 진단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에 발표되었다.


약 14,000명의 애플 워치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에서 462명의 사용자가 당뇨 환자로 진단되었으며,

애플 워치에 탑재된 센서는 안드로이드 웨어 등이 적용된

다른 Fitness 밴드에도 일반화된 것으로

애플 워치 뿐 아니라 기타 다른 심박 센서가 달린 웨어러블 기기로

당뇨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약 1억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 및 예비 환자를 보유한

미국의 헬스케어 산업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체혈 없이 혈당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발전된다면, 당뇨병 관리에 관한 의료 산업에 혁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당뇨병 환자는 매일 수차례 바늘로 피를 내어

자신의 혈당을 확인하고 있는 현실이다.)


애플은 최근 분기 실적 발표에서

애플 워치 판매량이 단일 브랜드 최고 수량은

물론 스위스 전체 시계 판매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 세계 최대의 시계 회사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냥 아이폰에 연계된 악세사리 정도로

애플 워치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 워치의

활용 가능성을 찾아 시장을 개척해 나가는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이 만들어 낸 결과인 것이다.


기대보다 빠르지는 않지만,

차근 차근 또 다른 생활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로

거듭나고 있는 애플 워치의 발전을

재미있게 지켜볼 수 있을 것 같다.


-The Dget -

YI Compact Dashcam 개봉기


비싼 블랙박스는 안녕, 5만원에 해결하는 1채널 YI 차동차용 블랙박스


대륙의 실수로 유명한

샤오미가 미국 판매 브랜드 YI를

통해 판매하고 있는 자동차용 블랙박스 

Compact Dashcam을 살펴보자.



이 제품은

130도의 화각과 f2.0 조리개값을 가진

초광각 렌즈와 1920x1080 FULL HD 해상도의

카메라 성능을 가진 카메라가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나이트 비전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야간에도 쓸만한 녹화 성능을 발휘한다.



후면에는 2.7인치 크기의 LCD 스크린과

전원, 녹화, 사진보기, 설정 등의 선택 버튼이

위치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후방 기준 오른쪽 측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USB micro-b단자가

위치하며 그 밑에는 기기 리셋을

위한 버튼이 달려있다.

전원부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동일하게

5V를 사용하며, 1A 정도의 용량이면

충분히 작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호환성을 지닌다.



반대편 측면에는 microSD 카드를

위한 슬롯이 위치하고 있다.

8~64GB 까지 용량을 지원하며

Class 10 이상의 읽기, 쓰기 속도를 권장하고 있다.

microSD 카드는 별매이다.



중국의 애플(?) 답게

박스를 개봉하면 깔끔한 형태로

패키징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다.



박스 안에는

제품 본체, 차량용 거치대, 5V 1A 시가잭 어덥터,

전원 연결케이블, 메뉴얼, 보증서 등이

함께 들어있다.



차량용 거치대를 마운트하면

전형적인 소형 차량용 블랙박스의 모양이 된다.

후면에 위치한 버튼으로 

녹화화질, 충격감지 민감도 등의 설정과

녹화내용 확인이 가능하지만,

WIFI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iOS/Android APP을 사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녹화 설정과 상태 확인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아마존 특가 행사때

일단은 저렴한 가격 때문에 구매를 하였고,

(현재는 $40 정도에 판매되고 있음)

개봉이후 제품 이상유무 확인을 위해

전원을 넣고 잠깐 설정을 위해 사용해본 결과

가격대비 크게 나쁘지는 않다는 느낌이지만,

화질이나 녹화 성능 등의 실제 블랙박스로 사용이 

가능한지에 관해서는 추가로 사용을 한 후에

리뷰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 The Dget -

하늘에 수놓은 드론으로 다시 본 인텔의 기술력


평창 하늘에 오륜기 그린 1218대의 드론

100대로 시작된 동시 컨트롤 기술 2년만에 1218대로...



2017년 올림픽 공식 후원사가된 인텔은

CES2018 부스에서 올림픽 관련 내용을

다수 전시하였다.

IoT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올림픽을 즐기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평창 하늘에 수놓은 드론 오륜기 퍼포먼스에 사용된

드론 컨트롤 기술이다.



인텔은 약 2년전부터

이 기술을 활용하여 각종 이벤트와

연계에 퍼포먼스를 선보이곤 하였는데,

처음에 사용된 드론의 숫자는 100대였다.


최근 시드니에서 500대까지 활용하여

퍼포먼스를 선보였는데,

이번 평창에서는 1218대까지 늘려

밤하늘에 아주 멋진 오륜기를

그리는데 성공한 것이다.



우리는 인텔인사이드라는

광고 캠페인의 영향으로 INTEL 하면

쉽게 컴퓨터 CPU 제조사로만

알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인텔은 거의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칩을 만드는

TOTAL 솔루션 제공업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PC, 자동차, 통신 장비, 산업기기 등등

인텔의 CHIP이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없을 정도이니 말이다.



이런 기기들을 통해 VR, AR, AI, 5G 등등

현재 새롭게 펼쳐지고 있는 

새로운 미래 기술 산업에 인텔의 기술력이

플랫폼 내부에서 핵식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평창 이벤트를 통해

인텔의 기술력이 조금 더 밖으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으로

이번 포스팅을 마친다.


- The Dget -

안드로이드에서 애플 AirPods 사용하기


블루투스모드로 사용 가능한 무선 이어폰 Airpods


애플이 아이폰7과 함께

내놓은 무선 이어폰인 Airpods는

애플의 독자규격 통신칩인 W1칩을

사용하여 아이폰과 함께 사용할 때

최상의 성능을 보이지만,

블루투스 호환 모드도 내장하고 있어,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안드로이드폰에서

블루투스 설정을 실행 시킨 후

에어팟 케이스에 있는

조그마한 버튼을 눌러 기기 인식모드를

활성화 하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에 나타나게 된다.

이후에는 다른 블루투스 연결과

동일한 과정으로 페어링을 통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에어팟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페어링을 통해 사용할 경우

에어팟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불편한 경우가 있는데,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에서

에어배터리(AirBattery) 라는 앱을

설치하면 에어팟의 충전 상태를

확인이 가능하다.


에어배터리를 스마트폰에 설치한 후

에어팟과 스마트폰이

페어링되어 있고, 에어팟이 스마트폰

주변에 위치하면 아이폰 UI와

비슷한 형태로 에어팟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W1칩을 사용한 BeatsX도 동일하게

사용가능하니 참고 바란다.


- The Dget -

아이폰 배터리 상태 확인 가능한 iOS11.3 Beta2 배포


상태가 안좋은 배터리 확인 가능 및 퍼포먼스 저하 끄기 가능



배터리 게이트 해결을 위한

iOS 업데이트 버전인 11.3의

두번째 베타에 드디어 배터리 건강(Beta) 

메뉴가 등장하였다.



배터리 상태가 양호하다면

위와 같이 최대 용량과

최대성능 관련한 메시지가 

표시되는데  별도로 설정가능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배터리 상태가 안좋아져,

최대 성능 제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면

안내 메시지와 함께,

 Disable(비활성화) 버튼이 나타난다.



비활성화 시키면,

비활성화 버튼은 사라지고,

최대 성능 제한 기능을 수동으로

해제하였다는 메시지를 보여준다.


추가적인 배터리 성능 저하가

일어날 경우, 다시 성능제한 비활성화 버튼과

하단에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권고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아직 사용하고 있는 아이폰의

배터리가 그렇게 나빠지지는 않아서,

애플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미지를 통해

iOS 11.3의 배터리 헬스 관리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 The Dget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