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구글이 인수한 NEST  스마트홈 제품 판매 중지


최근 인수한 BLINK, RING 등이 NEST와 경쟁 제품 판매

스마트홈 플랫폼 전쟁으로 확전될까?



아마존이 최근

NEST사의 스마트홈 관련 제품을

더이상 자사의 유통 채널에서

판매하지 않겠다는 아마존 최고 경영층의

결정을 NEST측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NEST는 스마트 온도조절기, 방범 카메라,

방범센서 등 스마트 홈 관련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 구글이 약 2014년 초에 인수하였다.


그동안 스마트 홈 디바이스의 선구주자로

시장 확대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으며,

최근에는 구글 어시스턴트, 알렉사, 시리 등의

인공지능 개인비서 서비스와 연계하여

스마트 홈 환경을 꾸미는데 가장 보편적인

디바이스로의 역할을 하면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구글과 아마존의 관계가 심상치 않은 점이

하나씩 붉어지면서 스마트 홈 시장을 둘러싼

두 공룡의 대결이 본격화 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아마존의 디스플레이형 알렉사 서비스 기기인

에코쇼와 스마트 TV 디바이스인 FireTV 에서 

유투브 영상 플레이를 구글이 금지시킨 것으로 시작된 이 싸움은

아마존의 스마트 도어벨 제작사 Ring 인수를 거쳐

아마존의 NEST사 제품 판매 거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뒤질세라 NEST는 베스트바이, 홈디포, 로우즈 등의

다른 유통 채널에 NEST 제품을 행사 가격으로

판매하는 등 대결이 확대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아직, 알렉사 플랫폼을 이용해 NEST 제품을

컨트롤 하는 플랫폼 연동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나,

플랫폼 전쟁이 확대된다면

서로의 제품은 해당 플랫폼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감정 섞인 싸움으로 서로의 플랫폼 간에

벽이 생기는 대결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건설적인 대결이 계속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소한 이제 시작인 스마트 홈 관련 시장에서만이라도 말이다.


- The Dget -

TESSAN USB-C type HUB 사용기


저렴한 가격에 충전 가능 및 4K 지원 HDMI 포트까지


애플이 최초로 시작한

USB-C 포트만 탑재한 PC 혹은 노트북등이 보편화

되면서 USB-C  허브들이 다양하게

출시 되고 있는데, 가격도

점점 안정화 되고 있는 추세다.

중국에서 만든 TESSAN USB-C 허브도

그 중의 한 제품인데,

간단한 사용기를 통해 알아보자.



신용카드 정도 크기의

사각형 디자인의 이 허브는

실버, 그레이, 골드 세가지 컬러 모델이

존재하며, 미국 아마존 기준 대략 3만원 정도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PD Quick Charging을 지원하는

이 제품은 5~20V 60W까지 지원하므로

애플 맥북프로 13인치모델은 무리없이

충전이 가능하고, 15인치 모델은 약간 용량이 모자라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 시에는

충전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허브의 USB-C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거나 USB-C 케이블이 PC나 스마트폰에

연결되면 파란색 LED가 전원이 연결되었음을

알려준다.



세 개의 USB Type-A 3.0 지원 포트,

한 개의 4K UHD까지 지원하는 HDMI포트,

한 개의 충전까지 지원하는 USB Type-C 3.1 포트

이렇게 총 5개의 포트가 존재하며,

약 10cm 정도의 케이블을 통해 USB-C 타입 어덥터로

PC나 스마트 폰등과 연결 할 수 있다.



다양한 USB-C 포트를 적용한

컴퓨터들이 시장에 존재하지만

이 제품의 주 타겟은 애플 맥북 시리즈이다.

필자의 맥북프로 13인치 터치바 모델에

연결해 테스트 해 본 결과,

충전과 4K HDMI 출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고, USB Type A 포트도

최고 5Gb/s의 연결 속도를 지원하는

3.0 규격모드로 정상 작동 되었다.

충전하는 중에도 큰 발열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내구성은 조금 길게 사용해 보아야 하겠지만,

전반적으로 가격 대비 성능은 나쁘지 않아 보인다.

조금 아쉬운 부분은

외장 재질은 알미늄을 사용해

겉보기에는 깔끔해 보이나,

전반적인 조립 완성도 측면에서는

중국산 제품에서 느낄 수 있는 아쉬움이

살짝 보이기는 한다.

또, PC 연결 케이블이 조금

두껍고 뻣뻣한 재질이라서 보관, 운반하기에

조금 불편한 점이 있다.

거기에 무게도 무거운 편은 아니지만

최근 가벼운 노트북들에 대비하면,

USB 허브의 무게치고는 조금 무거운 수준이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쿠폰 등의 깜짝 행사로 2만원 미만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경우도 있으니,

전반적으로는 추천할 만한 제품이다.


- The Dget - 

갤럭시 S9 상반된 평가 받아, 카메라는 최상, 성능은 별로?


MWC 2018 최고의 모바일기기로 선정

DxO 역대 최고의 스마트폰 카메라

엑스노스 9810 AP 성능은 글쎄?

3월 초 공식 출시를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의 새로운 스마트폰

갤럭시 S9/S9+에 대한 상반된 평가가

이목을 끌고 있다.


제일 먼저, 방금 폐막된 MWC 2018에서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선정한

최고의 커넥티드 모바일기기 상을 수상했다.

소니, 노키아, 화웨이, LG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선보인 새로운 기기 중 가장 눈에 띄인 제품으로

선정된 것이다.


갤럭시 S9 시제품이 이미 여러 매체에

공개되어 있는 가운데,

카메라 성능을 측정하는 사이트인

dxomark.com 에는 갤럭시S9+의

카메라 리뷰가 공개되었는데,

역대 스마트폰 카메라 중 최고 성능 점수인

99점을 획득하여 최상의 카메라 성능을

가진 스마트폰임을 증명하였다.

이는 경쟁 제품인 아이폰X는 물론

최근 가장 좋은 카메라 품질로 인정 받고 있는

구글의 Pixel2 를 뛰어넘는 결과이다.

(상세한 리뷰는 DxO 사이트 참조)


이런 긍정적인 평가도 있는 반면,

유명 벤치마크 사이트인 Anandtech에 의하면

 삼성이 새로 개발하여 S9시리즈에

적용한 AP인 엑시노스 9810을 탑재한

기기의 벤치마크 성능이 한세대 이전 제품인 

애플의 아이폰7에 적용된

A10칩보다도 성능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일부 성능에서는 퀄컴 스냅드래곤 845를 사용한

경쟁 제품들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결과도 보여주고 있어

새로 개발된 AP 하드웨어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인

최적화가 아직 완성되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는 평가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직 공식 발매 이전이므로 많은 사용자가

다수의 기기를 테스트한 결과가 아니라

해당 내용에 대한 100% 신뢰는 가질 수 없지만,

현재까지는 비주얼 세대를 위한 최고의 폰으로

평가 받고 있는 갤럭시 S9/S9+ 모델이

실제 대중들에게도 인기를 얻어

베스트 셀러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The Dget -

최고의 휴대성을 지닌 드론 DJI 매빅 에어 개봉기

(플라이모어콤보 아틱화이트)


매빅프로와 스파크의 장점을 살려 휴대성을 극대화

여행의 필수 동반자(?)



드론 명가 DJI가 최근 발표한

Mavic Air Fly More Combo를

개봉해 보자.



패키지는 드론계의 애플이라는

찬사를 듣는 DJI 답게 매우 깔끔하다.

플리이모어콤보는 기본 패키지에

가방이 추가되어 있는데, 가방 안에

내용물들이 추가로 들어 있다.



기존의 매빅보다는 크기가

훨씬 작아졌으며 매빅의 시그니쳐인

폴더블 윙을 사용하여 프롭부분이 접히는

방식으로 휴대성을 극대화 하였다.

폴딩된 상태에서의 크기는

아이폰 7플러스보다 약간 큰 정도다.



기본으로 제공하는 드론 본체용

케이스는 외부는 천으로 되어 있으나,

내부에 하드폼 들어 있어,

매빅에어를 훌륭하게 보호해 준다.

굳이 별도의 케이스나 가방을 구매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추가 배터리나 조종기는 같이 수납이 불가능하다.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가 화려한

매빅 프로와는 다르게 스파크와 유사한

형태로 간결해졌다.

휴대성을 위해 스틱이 착탈식으로

설계되어있으며, 접이식 스마트폰 홀더

안쪽에 탈착한 스틱을 거치할 수 있게

디자인 되어 있다.

안테나와 조이스틱, 스마트폰 홀더를 모두 접으면

그냥 아무 주머니에도 불편함 없이 들어간다.



컨트롤러 후면은 글로시한 제질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전원버튼, 리턴투홈 버튼 , 스포츠모드 스위치,

녹화 버튼, 펑션버튼 등 다양한 버튼이

콘트롤러 윗면에 배치 되어 있다.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인 컨트롤러 후면에는

짐벌 각도 조절 다이얼과 녹화버튼, 카메라 셔터 버튼 등이

위치하고 있어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 되어 있다.



매빅 프로와는 다르게  기체 상단은

배터리가 아니라 카울로만 덮혀 있다.

화이트, 블랙, 레드 세가지 색상의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으며, 스파크처럼

색상 변경은 불가능하다.

매빅 프로와 동일하게 뒷쪽을 먼저 펼치고,

앞쪽을 펼치게 되어 있으며,

프롭은 접히지 않는 일체형이다.



전면과 후면에는 모두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와 센서가 달려있으며,

전면에 달려있는 카메라는 3축짐벌에

고정되어 있으며 4K 30FPS를 지원하는

1천2백만화소 센서와 24mm 화각에

F/2.8 조기래를 갖는다.

후면에는 USB-C 포트와 micoSD 카드 슬롯이

위치하고 그 부분은 커버로 덮혀있다.

매빅에어에는 8GB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어

별로의 메모리카드가 없어도 약간의

촬영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USB-C 포트로 PC에 연결해서 촬영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본체 하부 정면에는 짐벌 보호대가

견고하게 마운트 될 수 있는 홀더가

위치하고 있어 짐벌 보호대를 쉽게 부착할 수 있다.

그 뒤로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부분이

위치하고 있으며, 제일 후면에

비행 높이와 장애물 측정을 위한 센서와 

카메라가 위치하고 있다.



접이식으로 구성된 네 개의 윙은

매빅프로보다 훨씬 견고한 방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한 번 더 펼칠 수 있는 작은

착륙지지대가 달려 있는데, 이 부분에

안테나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비행 전에 반드시

펴서 매빅과 조정기간의 원할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플라이모어콤보의 다양한 추가 악세사리 중 

핵심은 캐링백과 추가 배터리일 것이다.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추가 배터리 2개를 확보 할 수 있다.

DJI의 전용가방은 기존의 경우 크게

매력적이지는 않았는데, 매빅에어의 경우

충전기와 배터리 총 3팩, 컨트롤러와 본체가

타이트하게 수납되어 휴대성 좋은 매빅에어의

장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크기와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추가 배터리와 배터리 충전 허브, 캐링백만으로도

플라이모어콤보의 추가 가격에 대한 값어치는

충분해 보인다.



프로펠러가드, USB 3.0 TYPE-C 케이블, 

USB-C/라이트닝/Micro USB 커넥터 케이블 등등

DJI의 기본 구성품은 추락 등의 큰 사고만

없다면 매빅에어를 한동안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본 소모품에 대한 추가 비용 걱정이

없게 만들 정도로 인심이 후한 편이다.



플라이모어콤보에 추가로 들어있는

배터리 충전 허브는 동시에 4개의 배터리를

마운트하여 충전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해 주며, 매빅 에어 배터리를

휴대폰 등의 보조배터리로 만들어 주는

보조배터리 어덥터도 

필드에서 컨트롤러를

충전할 있게 도와 주는 유용한 아이템이다.

이상으로 사진으로 본 간단한

DJI 매빅 에어 플라이모어 콤보

개봉기를 마친다.


이제 비행할 시간이다. ㅎㅎㅎ


- The Dget -

LG전자 6월 발매 예정 G7 노치 디자인 채택(?)


M자 탈모 모양이라 조롱 받던 아이폰X따라

안드로이드폰도 노치 디자인이 대세?



MWC에서 공식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비공개 미리 보기 행사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LG전자의

G7 NEO가 아이폰X가 유사한

노치 디자인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퀄컴의 스냅드래곤 845를 채택하고,

안드로이드 O 버전을 탑재하였고,

후면에는 갤럭시 S9+와 유사하게

세로로 2개의 카메라가 위치하고 있다.

스크린은 19:6 정도 비율의 3120x1440 해상도의

6인치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고,

노치 부분은 S/W를 통해 확연히 보였다,

안보였다 하게 조절이 되는 모습이었다고 한다.



최근 구글은 안드로이드 업데이트를 통해

노치 디자인에 대해 OS 차원에서 지원을

발표한바 있고,

ASUS Zenfon, 화웨이 P20 등도

아직 공식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애플 아이폰X과 유사한 노치 디자인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안드로이드 진영의

애플 따라하기는 여전히

계속 진행 중임을 알 수 있다.


M자 탈모라는 놀림으로 대변되고 있는

노치 디자인이 새로운 디자인의

대세가 될지 아니면 잠깐의 유행으로

멈출지 지켜보자.


- The Dget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