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습관, 음성으로 작동하는 기기 - 스마트 스피커


NPR 스마트 오디오 보고서 분석해 보니

미국 가정은 이미 스마트 스피커 대중화 단계



2018년 겨울

미국의 공영 라디오 방송인 NPR이

조사회사 에디슨리서치와 함께 진행한

스마트 오디오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21% 정도가 이미 스마트 스피커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 스피커가

스마트폰 다음으로

가장 빠르게 대중화 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자리 잡았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특히, 52% 정도의 사용자는

이미 2개 이상의 스마트 스피커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 스피커를 한 번도 안써본

사용자는 있어도, 한 개만 사용하는

사용자는 없다는 말을 실감하게 하고 있다.


단순한 미국내 가구 보급율만 보아도,

2018년 한 해동안 약 78%의 성장을

보인 것으로 스마트 디바이스 중 단연 으뜸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사용 빈도를 확인해 보아도

53% 이상이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 스피커가 일상화 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25% 정도의 사용자는

스마트 스피커를 통해 가장 많이

음악 혹은 뉴스 등을 듣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 스피커는

스피커라는 특성답게

오디오 정보 소비의 방법을 바꾸고 있다.



60% 정도의 사용자가

다른 공간에서도 연속적으로

오디오 컨텐츠를 소비하기 위해서

추가로 스마트 스피커 구입을 고려할 정도로

스마트 스피커의 편의성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주일간 사용 내역에

관한 질문에는

가장 많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하고 있었으며,

날씨, 뉴스, 타이머, 알람, 시간 확인 등의

개인 비서로의 역할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되어 스마트 스피커 메이커들의

디자인 대로 사용자도 해당 기기를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약 25% 미만의 사용자 만이

스마트 홈 기기를 컨트롤 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각보다 스마트 홈 디바이스는 많이 보급 되지 않았음을

간접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시간대 별로 사용하는 내용도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대응해서

스마트 스피커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유 가정의 40% 가량이

집에 자녀가 있다고 답하고 있는데,

그 중 73%가 자녀도 함께 스마트 스피커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스마트 스피커 메이커들의 바이럴 영상 등을 보면

스마트 스피커의 도움을 받아 숙제를 하거나

어린아이가 편안하게 친구와 같은 느낌으로 

스마트 스피커와 대화를 진행하는 등

어린이들의 사회화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0% 가량이 스마트 스피커는

가구 구성원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이는 개인화된 기기인 스마트폰과는 달리

스마트 스피커는 TV와 같은

가구 구성원이 공유하는 기기라고 할 수 있다.


24% 이상의 사용자가 스크린 타임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 스피커를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이 보고서 중 가장 주목할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스마트 스피커가

Screen Time을 줄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스크린 타임이란 말 그대로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보고 있는 시간을

말하는데,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너무 오랜 시간동안 화면을 보고 있는 것은

거북목 등의 건강 상의 문제는 물론

식사 시간 등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시간에도

계속 스마트폰 화면만 주시하는 등의

다양한 사회 문제를 만들고 있다.

스마트 스피커가 스마트폰의 보조역할을 하면서

이러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 미디어 소비 측면에서도

새로운 매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데, 특히 쇄퇴한 라디오의 역할을 

스마트 스피커가 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미국 시장을 대상으로 한 조사라

한국 현실과는 조금은 다를 수 있지만,

스마트폰 이후에 새로운 먹거리 차원에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 홈 기기들이

대거 출시 되었지만, 스마트 스피커가 스마트폰 이후에

대세 디바이스임이 확인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이 보고서의 전문은

https://www.nationalpublicmedia.com/smart-audio-report/latest-report/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장상황을 좀 짚어보면

미국의 경우에는

아마존이 알렉사를 앞세워 시장을 선도하였고,

그 이후 구글이 구글 어시스턴트로 빠르게 대응하면서

대중화 된 상황이다.

애플, 삼성 등이 유사한 제품을 내 놓았지만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고,

2, 3세대 제품들이 막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경우,

네이버, 카카오, SKT, KT 등이

자신의 플랫폼을 앞세워 여러가지 스피커 제품을

출시하였고, 구글이 구글홈을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 폰의 경우 PC를 대처하는 역할을 하면서

H/W와 S/W 시장이 동시에 열리면서

쉽게 대한민국의 먹거리로 바뀔 수 있었지만,

스마트 스피커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스피커라는

H/W 부분은 크게 먹을 꺼리가 없어 보인다.

($50 정도면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가 

빠른 보급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스마트 스피커 시장에서의 핵심은

S/W 부분과 연계된 컨텐츠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음성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AI 부분과

K-POP, Podcast, 오디오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어떻게 제공하느냐가 시장에서의 성공과 실패를

가눌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과연 어떤 사업자가 어떤 컨텐츠로 사용자의 마음을

사로 잡을 수 있을지?

대한민국 스마트 스피커 시장은 이제 막 열리고 있다.


- The Dget -

SONY - 새로운 미러리스카메라 a6400 발표


APC-S 센서 사용한 보급형 기종

성능은 플래그쉽 a9과 비슷



소니는 미국 샌디에고에서

현지 시간 1월 15일 오전 신제품 발표 행사를

열고 렌즈교환식 미러리스 카메라

a6400 모델을 발표하였다.



한동안 풀프레임 기종만

발표하던 소니가 비교적 보급형 라인업을

확대한 것이다.

기존 a5100과 같은 셀카가 가능한

플립형 LCD를 채택하고,

24M화소를 갖는 APS-C 타입 센서를 사용한

이 카메라는 425개의 측거점을 갖는 위상차+컨트라스트 방식의

AF를 최대 0.02초의 초고속으로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SONY의 장점인 Eye-AF도 거의

리얼타임으로 제공하는 등

풀프레임 상위기종인 a9와 맞먹는 촬영 성능을

지니고 있어, 기존 a6500 보다도

나은 성능을 보여 준다.


11fps 기계식 연사와 8fps 무음 전자식 연사,

풀픽셀리드아웃 4K 동영상 지원,

인터벌 촬영 및 타임랩스 기능 등등

입문형 카메라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는 a6400은 

북미 기준 $899의 가격이 책정되어 있으며

19년 2월부터 지역별 순차 발매 예정이라고 한다.


바디 내장 3축 손떨림 방지 기능만

빼고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APC-S 카메라라고

할 수 있을 것은 이 카메라의

시장 데뷰를 기다려 본다.


- The Dget -

DJI 초소형 짐벌내장 액션캠 오스모 포켓 개봉기


116g 무게에 최상의 휴대성을 지닌

3축 짐벌 내장 액션캠 오스모 포켓



드론과 짐벌의 명가

DJI에서 새로운 휴대용 카메라인

오스모포켓을 개봉해 보자.



오스모 포켓은

3축 짐벌이 내장되어 있는

액션카메라인데

무게는 116g에 불과하다.

또, 길이는 약 12Cm에 전체적인 크기도 

매우 작아 제목 그대로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크기이다.



5인치 정도 스마트폰 크기의

박스의 포장에는

오스모포켓 본체와

보관을 위한 조그만 커버 케이스의 

두가지 큰 아이템이 들어 있으며,



커버 케이스 안에 설명서와

케이블 등의 악세사리가 함께 들어있다.



기본 포함 악세사리로는

아이폰 연결용 라이트닝 단자,

안드로이드폰 연결용 USB-C 단자,

충전용 USB-C 케이블,

케이스용 핸드스트랩,

퀵가이드 설명서 등이 있다.



본체를 살펴보면

상단에 짐벌에 고정된

카메라가 있으며

본체 상단에는 

1인치 터치 스크린이

위치한다.



그 아래에 스마트폰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포트가 있으며

녹화 버튼과 펑션버튼,

2 개의 버튼이 위치한다.

본체 측면에  최대 256GB까지

지원하는 microSD

카드 슬롯이 있고,

하단에는 충전과 확장 연결을 위한

 USB-C 포트가 위치한다.



스마트폰과 연결 없이

오스모 포켓만으로도

촬영이 가능하지만,

편리한 촬영을 위해서는

스마트폰 연결이 필수적이다.



본체가 워낙 가볍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파지하고도

충분히 촬영이 가능하다.



하지만, USB-C 타입만 지원해서 

구형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들은 다른 연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



스마트폰 연결을 위한

어덥터를 장착하면

본체 옆으로 살짝 튀어나오는

모양이 되는데

커버에는 적당한 위치에

구멍이 뚫려있어

신경 쓸 필요 없이 보관이 가능하다.



기본 스펙은

80도(FF환산 약 26mm)의 

스마트폰 카메라와 유사한 화각을

가지고 있으며,

1/2.3" 크기의 CMOS 센서를 사용해

1천2백만 화소의 이미지나

4K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성능은

웬만한 소형 카메라와 견주어도

크게 빠지지 않는 스펙이라고 할 수 있다.

거기에 약 45만원 수준의 가격대라니

정말 다른 액션캠들의 힘을 빼 놓을 수 밖에

없는 DJI의 역작이라고 할 수 있다.



1세대 오스모의

배터리보다 조금 더 큰 크기의

오스모 포켓이

유투브로 대변되는 동영상

크리에이티브 시대에 걸맞는

더욱 더 다양한 컨텐츠들이 추가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할 것임이

분명하다는 것을 느끼며,

개봉기를 마친다.

- The Dget -

DJI 신개념 액션카메라 오스모 포켓 출시


3축 짐벌을 탑재한 초소형 액션카메라로

유투버를 비롯한 영상 크레이이터의 필수품



드론과 짐벌 등 촬영 장비 시장을

이끌고 있는 DJI가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액션카메라인

오스모 포켓을 출시 하였다.


약 12.2cm x 3.7cm x 2.9cm의 크기에

116g의 초경량으로

이름 그래도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극강의 휴대성을

지니고 있다.


주요 스펙으로는

1/2.3" 크기를 가지는 1천2백만 화소

CMOS 센서와 80도 화각의 조리개 F2.0을 지닌

카메라를 탑재하여

4K/FHD 60fps 영상과 12백만 화소급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하단부에는

기계신 3축 짐벌이 탑재되어 있으며

핸들 부분에는

소형 LCD와 기능 버튼들이

위치하고 있어,

카메라로써의 기본 기능이

모두 탑재 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전원 방식은

충전식 배터리로 운영되어

최대 140분 가량 촬영이

가능하다고 한다.



스마트폰과 연결해서

더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연결 기능과

DJI Mimo라는 앱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촬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수 하우징, 확장 암,

조종휠, 범용 악세사리 포트 등의

악세사리도

함께 준비 되어 있다.



기존 DJI 드론과 짐벌에서 지원하던

FPV, 액티브 트랙 등의 다양한

촬영모드가 지원되어

비교적 수월하게

재미있는 인생샷을 건질 수 있는 것이

오스모 포켓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액션캠과 비교해서

그렇게 비싸지 않은

45만원 수준의 가격으로

훨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오스모 포켓은

최고의 여행용 카메라이자

일상 생활용 카메라가 될 것이다.


TV 프로그램 촬영에 드론과

액션캠이 도입되어 색다른 영상미를

제공해 주고 있듯이,

오스모 포켓 또한

다양한 컨텐츠들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생각해 보면서

간단한 소개를 마친다.


- The Dget -

삼성 포터블 SSD T5 개봉기


USB TYPE-C 지원하는 SSD 방식

초소형/초고속 외장 하드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리드하는 삼성전자의

휴대용 SSD 드라이브

T5 모델을 간단히 살펴보자.



Portable SSD T5 라는

공식 명칭으로 불리우는  이 외장하드는

250GB/500GB/1TB/2TB  용량의

4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개봉기에는 500GB 모델이

사용되었다.

250GB/500GB 모델은 청색

1TB/2TB 모델은 검정색의 외장컬러를 갖는다.



초소형 사이즈에 걸맞게

포장박스도 상당히 간결하다.

작은 박스 안에 내용물이 들어 있는데,



상자 안에는

외장하드 본체와 함께

USB Type A-C 케이블,

USB Type C-C 케이블,

간단 설명서가 함께 들어있다.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는

알미늄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매끄러운 곡선이 더해져

상당히 고급스러운 느낌이다.



크기는 일반적인 명함보다 살짝 작은데다가

무게는 51g 밖에 되지 않아

거의 완벽한 휴대성을 갖추고 있다.



측면에 위치한 USB Type-C 포트를

통해 PC(Window/Mac OS)와 스마트폰(Android OS)과

연결이 가능하다.

iOS와는 호환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최근 발표된 USB Type-C를 지원하는

아이패드와도 일부 호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고 기술 수준의 삼성전자의

V-NAND 메모리를 사용하여

USB 3.1 Gen 2 연결을 사용할 경우

최대 540 MB/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스펙을 지니고 있는데,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2017 맥북프로에 연결하여

간단한 성능 테스트를 한 결과

최대 스펙과 유사한 515MB/s 정도의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우측 사진)

맥북 내장 SSD 보다는 못하지만,

일상 작업에서는 파일 전송때문에 느리다는

느낌을 받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성능이다.

참고로 맥북프로에 내장된 SSD는

1200MB/s 정도의 성능이 나온다.(좌측 사진)



이상으로  삼성전자의

포터블 외장SSD T5 모델을

살펴 보았다.


짧게 경험한 것이지만,

V-NAND를 사용한 고성능에

초소형 사이즈, USB Type-C를

완벽히 지원하는 등

거의 완벽한 외장 스토리지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성능을 위해 상당히 두툼한

연결 케이블을 제공하고 있는데,

휴대성이 극대화된 본체와는

조금 대비되는 부분이다.


특히 스마트폰에 연결할 때

부피가 아쉬운데, 아주 짧은 동글 형태의

케이블이 추가로 제공되면 좋을 것 같다.


이상으로 직접 구입한 제품으로

진행한 간단 개봉기를 마친다.


- The Dget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