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어김없이 년초에 열리는 가장 큰 전자 박람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가 얼마 남지 않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라는 두 큰 전자 기업의 고향인 우리나라에는 어김 없이 언론에 이 행사가 언급되기 사작하는 시기이다. 행사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 보다는 이런 저런 기업에서 어떤 신제품을 발표한다는 보도 자료에 기반된 내용이기 때문에 행사 자체에 대한 소개는 그리 깊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CES라는 행사는 알고 있지만, 정작 실체에 대해는 잘 모르는 것 같아 이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다.

 2018년 50주년을 맞는 CES는 초창기에는 TV,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 중심의 전시로 시작되었다. PC 중심시대를 거쳐 스마트폰이 IT의 대부분의 관심을 가져갈 때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라는 행사에 밀려 관심이 멀어지기도 한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트렌드인 IoT 관련 카테고리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홈 디바이스, 거기에 모빌리티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자동차부문까지 대폭 행사에 반영하면서, 스타트업 열풍과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큰 IoT 전시회로 탈바꿈 하게되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여 CES 2018에는 약 18만명 이상의 참가자가 예상되고 있으며, 글로벌 전자 브랜드부터 조그마한 스타트업까지 약 3900개 이상의 회사가 참여하는 전시회와 300개 이상의 컨퍼런스가 2018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게 된다. 

 초대형 전시장인 라스베가스 컨벤션에서 시작된 전시는 이제 그 규모가 한 전시장으론 감당이 되지 않는 수준에 이르러 라스베가스 스트립 전역의 호텔을 공식 행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루어지던 프라이빗 행사들도 공식화 되기 시작되어 공식 전시는 진행하지 않지만 호텔 한 공간에 자신들의 라운지 등을 만들어 관련 미팅을 진행하거나 소규모 쇼케이스를 진행하는 등의 숨어있는 이벤트들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일례로 CES 2017의 경우 아마존 알렉사가 공식 전시 공간이 없이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행사였다는 보도가 많이 있지만, 실상 아마존은 가장 좋은 호텔 한 편에 넓은 라운지를 열어 행사 참여자들에게 그들의 서비스를 소개, 어필하고 있었다.

 이렇게 계속 행사들이 추가되다 보니 추가로 전시장을 확보하여 크게 세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전체 일정이 진행되게 되었다. 


 행사는 라스베가스 도심에 위치한 전시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Tech East, Tech West 그리고 Tech South 세 구역으로 나누어 진행이 된다. 

 Tech East는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IT 관련 업종인 가전, 자동차, 이미징 등의 제품군 브랜드가 모여서 행사가 진행되는 곳이다. CES 행사의 본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전시장에 다양한 브랜드의 전시 제품을 주로 볼 수 있는 곳이다. 일부 컨퍼런스가 진행되기도 한다. 이 곳에 전시 내용을 모두 보려면 최소 하루가 꼬박 필요하다.

 주요 참여 브랜드로는 삼성전자, LG전자, 소니, 파나소닉, GE, 화웨이 등등의 가전 브랜드와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포드, GM, 아우디 등의 자동차 브랜드 등등 세계적인 브랜드들이 행사장을 꾸며 놓고, 자신들의 신제품과 미래를 향한 기술력을 자랑하는 전시를 진행한다.

 Tech West는 베네시안과 팔라지오 호텔 켄벤션 공간을 중심으로 전시와 컨퍼런스가 동시에 이루어 진다. 유레카파크라는 이름의 전세계 스타트업이 모여 그들의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경쟁하는 공간과 CES 이노베이션 어워드 수상 제품 등의 전시가 진행된다.

 크게 알려진 브랜드보다는 스타트업 기업들의 새로운 서비스와 제품 전시 그리고, 웨어러블, 스마트홈 등 세상을 바꿀 새로운 제품들을 미리 볼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곳이다.

 Tech South는 아리아 호텔 컨벤션을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주로 디지털 미디어와 마케팅 회사들이 자리 잡고 있다. 전시보다는 라운지와 컨퍼런스 위주의 행사가 진행되며, 광고나 디지털 마케팅에 관련된 사람들이 주로 찾게 되는 곳이다.

 디지털 마케팅 회사 혹은 페이스북, 구글 등의 디지털 미디어 회사 등이 이 곳에 공간을 마련하고 전시 참가자들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이 세가지 SPOT을 관심 사항을 바탕으로 적당히 배분하여 참관을 진행해야 진정한 의미에 CES 참관이 될 수 있겠다.

 세 곳의 SPOT은 각각 셔틀 버스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행사 기간 중 라스베가스 도심 교통 상황이 그리 원할하지 않으므로 예상치 않게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음을 고려해 동선과 시간 배분을 잘 해야 효율적인 행사 참여가 가능하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IT 제품군들은 너무 혁신만을 추구하다 보니 이제 웬만한 것에는 새로움을 느끼지 못하는 피로 효과가 많이 느껴지는 것 같아 보인다. CES라는 전시회를 보는 시선도 조금 비슷해져 가고 있는 것 같다. 그냥 겉으로 보여지는 전시만 보고, 예년과 행사 자체가 별반 다르지 않다고 평가하는 경우가 우를 범하기 쉬워지는 것이다. 

 올해도 마찬가지로 작년에 보였던 스마트 안경, 드론, VR/AR 관련 제품들, 자율주행 관련 자동차 파트 등등의 제품은 올해도 또 같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또, TV의 스크린 사이즈는 조금씩 커져가고 있고, OLED와 QLED는 또 서로 자기가 화질이 더 좋다고 뽐내고 있을 것이다. 이런 내용의 전시는 매년 반복되지만 또 필요로 하는 부분도 충분히 있다. 

 하지만 CES가 점점 더 주목을 받는 행사로 변모하고 있는 부분의 가전이나 자동차라는 큰 카테고리만을 중요시 하는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들이 관심을 가지는 헬스케어, 스마트홈, 스마트 모빌리티 등의 연관 산업과의 공생의 장을 만드는 것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는 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올해 새롭게 많이 언급되고 있는 분야는 스마트 CITY인데, 앞서 말한 모든 산업군들을 아우르게되는 가장 포괄적인 범위의 산업분야이기 때문에 당연히 강조될 수 밖에 없는 부분인 것이다. 

 이러한 내용들을 참고해 CES 참관을 준비, 진행 해 본다면, 보다 의미있고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 The Gdet -

사족) CES 참관 준비 중에 갑자기 생각난 이야기를 주저리 주저리 적어 보았는데,  

계속 준비과정과 참관 중간 중간 포스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다.



GOOGLE 인공지능 스피커 - Google Home Mini 개봉기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재에 탑재된 음성인식 비서 기능인 Assitant를 

독립된 스피커형 기기에 탑재한 구글 홈 시리즈 중 가장 막내인 구글 홈 미니를 소개한다.

원형 블루투스 스피커 처럼 생긴 디자인을 지닌 구글홈미니는 

블랙톤인 차콜, 밝은 회색에 가까운 초크, 붉은색 계열의 익스클루시브 코럴


이렇게 세가지 컬러 모델이 존재하며, 가격은 $49.99에 판매된다.



구글 답게 최근 IT 기기들의 특징인 깔끔한 박스 패키징을 보여주고 있다.

박스를 개봉하기 편리하게 튿어지는 형태의 테이핑을  뜯고 나면

쉽게 상자를 열 수 있다.



상자 안에는 스피커 형태의 메인 기기, 충전기, 간단한 설명서가 들어 있다.



마치 블루투스 스피커처럼 보이는 둥근 모양의 본체에는 

중앙에 기기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LED와 

볼륨 조절, 명령 실행 등을 할 수 있는 터치 스위치가 원형 주변 4방에 위치한다.



기기 밑부분은 기기 고정을 위해 고무재질로 되어 있으며, 

하단부분에는 전원 공급용 USB 단자와 마이크를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가 달려있다.



OK Google 혹은 Hey Google 이라는 단어로 명령 대기 모드를 확인 시킨 후,

대화를 나누듯이 이야기를 하면 구글 AI가 분석 후

사용자에게 결과를 음성을 통해 알려준다.

시간, 날씨, 교통 상황 등의 생활 정보를 묻거나,

아침 기상을 위한 알람 요청, 요리 중 타이머 설정,

구글 뮤직을 통해 음악 재생을 요청하는 등의

 소리를 매계로 해서 소통하는 것이 구글 홈 미니의 기본 기능이다.



추가로 구글 HOME과 연동되는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다면,

전등을 켜고 끄거나, 냉난방 온도를 조절 하는 등

집안 구석 구석을 음성 명령으로 컨트롤 할 수도 있다.

(구글은 이미 NEST 등 스마트 홈 관련 업체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또, 크롬캐스트를 TV에 연결해 놓았다면, 

TV를 켜고 끄거나, 원하는 컨텐츠의 재생도 부탁할 수 있다.


약 5만원 정도의 비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구글 홈 미니는

단순히 말장난 상대 수준의 인공 지능 스피커가 아닌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똑똑한 비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 온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아직 한글 지원이 되지 않고,

호환 되는 스마트 홈 디바이스 등이 보급되지 않아 

갈 길이 멀어 보이는 점이 아쉬울 따름이다.

이러한 빈 공간을 국내 업체가 선점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 The Dget -


iOS 코딩에 필수 요소인 Simulator가 

 XCODE 9 버전과 함께 대대적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동시에 여러 버전의 기기를 실행 할 수 있게 된 부분이 대표적인 사항인데,

그 외에도 소소한 부분이 많이 달라지기도 하였다.


대부분 메뉴를 통해 활성화 된 내용된 것들이지만,

몇가지 Command Line을 통해 실행, 활성화 할 수 있는 것들을 정리해 본다.


- Internal Menu 추가


sudo mkdir /AppleInternal

 

root 폴더에 AppleInternal이란 폴더를 만들어 내부 메뉴를 활성화 하면, 

13인치 MBP 사용시 유용한 Full Screen Mode, 터치 포인트를 화면에 표시 하는 등의

편리한 메뉴가 Simulator Menu 화면에 추가된다.



- Simulator 화면 녹화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타이핑 하면,


xcrun simctl io booted recordVideo --type=mp4 <PATH TO VIDEO FILE>


녹화가 시작된다. 터미널에서 CTRL-C를 터치할 때까지 녹화는 계속된다.

실제 기기를 연결하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게 사용 예제 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


- Simulator에서 OpenURLs 스키마 열기,

xcrun simctl openurl booted <URL>


ex) xcrun simctl openurl booted http://maps.apple.com/?ll=50.894967,4.341626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시물레이터 앱 상에 있는 다른 앱을 호출 할 수 있다.

URLs 스키마를 사용한 App 코딩시 편리하게 Debug와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 Simulator에 설치된 App의 실제 폴더 찾기

시물레이터에 설치된 App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제 파일이 위치한 폴더를 찾아야 하는 경우에 다음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xcrun simctl get_app_container booted <APP BUNDLE ID>


단순히 폴더 내용만 찾기 보다는 다음과 같이 사용해서 아예

Finder 상에 해당 폴더가 열리도록 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open `xcrun simctl get_app_container booted <APP BUNDLE ID>` -a Finder


- The Dget -

인공지능(AI) 스피커 아마존 에코닷 (echodot)

최근 TV 프로그램에 뉴욕으로 시집간 한 연예인 일상이 나오는 중 그 집에 풀 장착되어 있던 

스마트홈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던 알렉사라는 목소리만 나오는 여성(?)이 상당한 방송 분량을 자랑하였다.

알렉사는 아마존이 만든 가상 인물로, 음성인식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 할 수 있는 AI 서비스이다.

이 알렉사가 살고 있는(?) 가장 작은(아니 저렴한) 기기가 아마존이 만든 echodot 이다.

동그랗게 점(?) 모양으로 생겨서 붙힌 이름인데, 그냥 점치고는 좀 크다. 

그리고 하얀색 버전도 존재한다.

본인은 취향으로 검정색 기기를 선택하였는데, 패키징은 위 사진과 같다. 

아마존이 자사의 쇼핑몰, 비디오, 뮤직 등의 컨텐츠 서비스와 연계할 목적으로 만든 H/W이기 때문에 

원가도 안되 보이는 가격인 $29.99에 팔고 있다. (원래 가격은 $49.99)

박스 내용물은 위와 같다. 본체와 간단한 설명서, USB 케이블 그리고 5V 전원 공급기 이다.

충전기 아니 전원 공급기는 9W나 되는데, 에코닷이 그렇게 큰 용량의 전력을 소모하지는 않는다.

다른 디바이스 충전기를 그냥 끼워 준 것 같다. (원가를 안아끼는 것인지...)

스피커 본체 윗면에는 볼륨 업/다운, 마이크 ON/OFF, Stop 버튼 등이 존재한다.

상단 테두리는  컬러 LED가 원형으로 위치하고 있어 기기의 상태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초록색, 빨간색, 파란색 등의 색깔로 표시해 준다.

기기 옆구리에는 전원 공급용 USB 단자와 사운드 입력용 AUX 잭이 위치하고 있다. 

echodot은 Bluetooth 혹은 Aux 입력을 받아 출력해 주는 휴대용 스피커 역할도 할 수 있다.

방송에서는 출연자가 요리를 하거나 외출 할 때 조명을 켜거나 끄고,

방온도를 조절하는 등등의 조금은 어색해 보이는 면도 없지 않았지만,

손을 사용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는 주방이나 욕실, 혹은 침대 머리 맡에 echodot을 두고

개인 비서 알렉사에게 음성으로 명량하는 것이 점점 흔한 일상이 되어 가는 것이다.

애플이나 구글, MS 등이 스마트폰에 먼저 탑재했던 음성인식 서비스를

스마트폰이 아닌 스피커와 마이크가 달린 형태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Concept을 바꾼 아마존의 시도를 오히려 애플과 구글이 

유사한 스피커 기기를 발매하며 따라가고 있다.

호기심에서 구입했던 이 AI 스피커를 뜯어 보다 보니

단순한 음성 인식 수준을 뛰어 넘어 인공지능과 결합된 다양한 서비스와

결합되고 있는 AI 스피커 시장이 Smart Home과 Smart Car 

세상을 어떤 모습으로 바꾸게 될지 상당히 기대가 되는 상황이다.

(계속 관련된 내용의 포스팅이 이어집니다....)

- The Dget -

가상현실(VR) 혹은 증강현실(AR)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체육관에서 고래가 뛰어노는 이 장면을 한 번쯤은 본 일이 있을 것이다.

이 영상을 만들어 퍼트린 후 Google 등의 대대적인 투자를 받았고, 그 이후 별다른 진척 사항이 없어 먹튀라는 소문만 무성하던 

Magic Leap이 드디어 그들의 VR/AR 플랫폼에 대한 업데이트를 발표하였다.

초기에는 다른 플랫폼들과 달리 HMD 없이 증강현실(AR)을 구현하는 것처럼 알려져 세간의 주목을 독차지 하였고, 

추후 HMD 형태의 디바이스와 플랫폼 형태를 제공할 것임을 비공식적으로 알려지긴 하였지만 공식적인 내용이 없어 신비감이 극에 다달았던,

매직립은 17년 12월말 구체적인 디자인과 제공할 플랫폼에 대한 설명을  Magicleap 홈페이지(http://www.magicleap.com) 에 게시하였다.

공식 발표된 하드웨어는 

눈 앞에 착용하는 형태의 HMD, 원형으로 허리나 주머니에 착용하는 형태의 컴퓨팅 담당 본체,  손잡이 형태의 컨트롤러이다. 

독특한 디자인을 띄고 있어 특색이 있어 보이지만, 

그 어디에도 H/W Spec에 관한 내용은 존재하지 않아 어떤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가볍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원론적인 수준의 설명만이 존재할 뿐이다.

그나마 홈페이지에 이곳 저곳에는 다양한 설명문이 존재하기는 하나, 구체적인 설명보다는 

마케팅적인 냄새만 느껴지는 그냥 좋다는 미사 어구들이 가득할 뿐이다.

VR/AR이 막 알려지기 시작한 시점에 유명 대학 출신들이 시작해 

마치 외계인이라도 포섭해 막강한 기술력을 가진 것처럼 포장되었던 스타트업 기업인  Magic Leap은 

그동안 과장된 홍보 영상으로만 계속 큰 규모의 자금 펀딩에 성공하며 긴 시간을 버텨왔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과장된 AR 기술로 마치 미래의 기술로만 느껴지던 가상현실 혹은 증강현실을 

바로 지금 실현 시킬 수 있는 현실기술로 착각하게 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며 말이다. 

뒤늦게나마 AR에는 안경(?)이 필요함을 대중에게 다시 한 번 각인 시켜주는 내용을 발표하였지만, 

이 역시 다른 스타트업들이나 기술 선도 기업이 진행하는 프로토타입(Prototype, 목업) 형태의 시험 기기가 아닌,

 컴퓨터 그래픽으로 그린 설계(?) 이미지 만을 발표하면서 또, 희대의 스타트업 펀딩 사기를 이어가려는 것 아니냐는 

냉정한 평가도 계속 받고 있는 상황이다.

Shipping in 2018!!

계쇡된 못믿을 만한 행보로 냉소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Magic Leap이 

그동안의 평가를 뒤집을 만한 혁신적인 AR 서비스를 세상에 보일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그다지 신뢰가 가지 않는 편이기도 하다.

하지만, 제대로된 평가는 실제 기기와 서비스를 경험해 본 이 후에만 정확히 내릴 수 있다.)

Magic Leap, 이들이, 희대의 사기꾼 스타트업으로 끝날지, 

아니면 정말 외계인을 뛰어 넘을 만 한 혁신적인 증강현실 Platform이 될런지는 

2018년에는 결판이 나지 않을까 싶다. 이번에도 약속을 못지킨다면 더이상의 기다림은 없을 것이다.

- The Dget -


+ Recent posts